용어 | 영어 | 해석 |
Main Effect |
주효과 |
인자의 수준변화에 따라 특성 값이 변화는 효과를 의미한다. |
Major |
중요한. 다수의. 과반수의 |
플랫폼이 다른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내는것 |
Malcolm Baldrige 상 |
|
미국에서 품질향상을 목적으로 1998년부터 제조부문, 중소기업부문으로 나누어 기업에게 수여하는 품질경영상. |
Malfunction |
기능장애. 부조. 정상작동을 하지 않다 |
기능장애. 부조. 정상작동을 하지 않다 |
Master Black Belt |
|
6시그마 경영전문가로서 개선 프로젝트 실행의 지도
전담자로서 Black Belt가 수행하는 프로젝트에 |
Minor |
중요하지 않은. 소수의. 부차적인 |
플랫폼만을 공용하는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것 |
Mock |
흉내내다. 모방하다 |
실물크기의 모형 |
MP |
COP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|
P : Management Processes |
MRP |
Material Resource Planning |
자재소요계획 : 단순한 자재수급관리를 위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. 자재소요량 계획(MRP), 제품의 구성정보(BOM, Bill Of Material), 표준공정도(Routing Sheet), 기준 생산계획(MPS, Master Production Schedule), 재고레코드(Inventory Record) 등의 기준 정보를 근거로 기업 자원의 비능률적인 활용이나 낭비를 제거하는 것이 주목적. |
MSA |
Measurement System Analysis |
계측시스템 분석. 계측시스템은 측정자, 측정설비, 자재, 계측방법, 계측환경으로 구성된다. |
MSA |
Measurment Systems Analysis |
측정시스템분석 : 측정시스템 또는 데이타의 안정성, 편중, 반복성, 재현성, 부품간 산포등을 분석하여 측정시스템의 유용성 판단 및 측정데이터의 품질향상 또는 제품품질에 영향을 주는 산포의 원인분석 등을 하기위한 통계적 분석방법 |
MTBF | Mean Time Between Failure | 평균고장 간격: 고장이 나도 수리해서 쓸 수 있는 제품에서 수리완료에서 다음 고장까지의 평균시간을 의미한다. |
MTTR | Mean Time To Repair | 평균 수리 복구시간 수리가능 System, 기기, 부품 등 수리 시간의 평균치. |
N.C.A.P. | New Car Assessment Program | 신차 평가 프로그램 |
NVA | Non Value Added | 제품의 기능, 특징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업무와 활동. Line 교체시간, 운반, 검사, 재작업, 분류, 재주문처리 등. |
O.B.D. | On Board Diagnostics 진단법. 진단술 | 배기가스 규제를 위한 검사 시스템 |
OA | Office automation |
어떤 문제점이나 불량이 있는가를 명확히 하고 그 원인을 조사하여 그것을 제거하기 위해 어떤 정보가 필요한가를 알아내고 그것을 신속히 처리하는 것 |
OCAP | Out of Control Action Plan | 공정 관리시 공정이 이상 상태 일때 조치를 취하는 절차를 flow chart 로 나타낸 것으로 현장 작업자가 통일된 절차에 준하여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. |
P.C.B. | Printed Circuits Board | 인쇄기판 |
P.C.N. | Program Change Notice | 프로그램 변경 통보서 |
P.D.I. | Pre-Delivery Inspection | 고객 인도 전 검사 |
P.D.S. | Program Description Summary | 차량에 들어가는 제품들의 사양서 |
P.L. | Project Leader | 프로젝트 리더 |
P.L. | Product Liability | 결함상품에 대해 메이커가 지는 제품책임 |
P.P. | Pilot Production | 양산전 소규모의 시험 생산 |
Parameter | 모수 | 모평균, 모분산, 모비율 등과 같이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. |
PC | Process Control | 공정관리 : 측정 및 의사결정 기준의 목적이 공정의 안전성 또는 자연공정 변동의 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간 생산에 적용될 때의 운영상태. 측정결과는 공차내에 있는지 공차를 벗어나는지를 나타낸다. |
PDCA 사이클 | 계획(plan), 실행(do), 검토(check), 조치(action)의 관리과정으로 슈하르트 사이클 또는 데밍 휠이라고도 함. | |
PDPC | Process Dicision Program Chart |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우발적인 상황들을 상정하고, 그러한 상황들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대응책들을 미리 점검하기 위한 방법이다. |
PFMEA | Process Failure Modes and Effect Analysis | 프로세스의 고장유형과 고장영향을 분석하는 것. |
PI | Performance Indicator | 각 팀에서의 업무분장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|
Pilot | 시험적인. 소규모의. 선행적인 | 시험적인. 소규모의. 선행적인 |
Pit | 코스에서 급유나 수리를 위해 마련되는 곳 | 피트 |
POP | Point Of Product | 생산시점관리 |
Pp | 이상적 장기공정능력 공정의 외부적 요인(자연적 변동) 하에서 장기간 동안의 공정 능력 | |
PPAP | Production Part Approval Process | 양산부품 승인절차 : 사전제품 품질계획은 고객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정의하고 수립하는 구체화된 방법 |
Ppk | Preliminary Process Capability | 예비 공정능력 ,개발단계 소 시료로 공정능력 평가,
양산성을 검증하는 통계적 기법. 장기간 동안 외부적 요인을 고려한 실질적 공정 능력 |
PPM | Parts Per Million | 불량률을 백만 단위로 환산한 값으로 백만개의 제품당 불량품이 출현하는 숫자를 의미한다. |
Pre-control Chart | 타점과 해석의 용이함을 위해 공정의 안정상태를 판단 하는데 공차를 사용하는 차트. 공차한계내의 영역을 red, green, yellow로 나누어 각 개별 데이터들을 판단한다. | |
Process Capability Index | 공정 능력지수 |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변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양적으로 정량화시킨 값으로 공정의 능력을 측정한 지수를 의미함. |
Process Map | 프로세스를 그림으로 구체화시킴으로써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과정을 시계열별, 기능별 혹은 담당 부서별로 나타내고 각 부분의 연결과정을 도시화 한 것. | |
Proto | 최초의. 주요한. 원시의 | 스타일링이 끝난 후 처음으로 만들어진 차량 |
PSO | Production Standard Order | 생산표준 통보서 |
PSO | Process Sign Off | 부품제조 공정승인 : 신규제품(부품)에 대한 사전 품질계획 및 활동을 통해 제품품질 수준을 설계수준에 만족케하고 생산 및 공정능력을 Pilot 투입 이전에 확보케하여 양산 초기품질 안정과 양산이후 품질산포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임(PSO 10단계-HMC.KMC요구사항) |
PULL 방식 | 후(後)공정의 요구를 받아서 전(前)공정으로부터 자재나 제품을 인수하는 공급형태의 생산 PULL방식은 ‘정보와 물(物)의 흐름’을 어떻게 일치시키는가가 중요 | |
PUSH 방식 | 자재나 제품의 이동 의지가 전(前)공정에 있는 경우로써 전(前)공정에서 후(後)공정으로 밀어넣는 공급형태의 생산 |
'Dynamic Story > 용어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품질용어(S단어) (0) | 2020.06.26 |
---|---|
품질용어(Q~R단어) (0) | 2020.06.26 |
품질용어(G~L단어) (0) | 2020.06.25 |
품질용어(F단어) (0) | 2020.06.25 |
품질용어(D단어) (0) | 2020.06.25 |
댓글